최근 탄산음료 대신 설탕이 없는 탄산수를 대신 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탄산수가 치아와 위장에는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탄산수는 물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만든 제품입니다. 이에 물처럼 과도하게 섭취하면 치아가 약해질 수 있죠.
따라서 탄산수를 물 대신 계속해서 마시는 것은 권장하지 않으며, 빨대를 사용하고 마신 후에 물로 입을 헹구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위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운동 전에는 탄산수를 마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경기도 성남시가 공동주택지구와 인접한 개발제한구역에 전원주택 및 아파트 건축이 가능한 것처럼 과장 광고해 조합원을 모집하는 기획부동산이 있다면서 시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이러한 기획부동산은 최근 상적동, 금토동, 고등동, 갈현동, 상대원동 등 개발제한구역 매매를 통해 마치 해당 지역 사업과 연계해 전원주택 및 아파트 건축이 가능한 것처럼 조합원을 모집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기획부동산 업체들은 그 수법이 점점 다양해져가고 있는데요. 이에 성남시는 지속적으로 기획부동산의 피해를 예방하고자 개발제한구역에서 가능한 행위에 대해 안내문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나 기획부동산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은 다단계사기 수법인데요. 일당제로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부동산업체에 취업을 하게 한 후 직원들까지 개발제한구역에 투자하게 만들어 버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수법을 통해 땅을 지인에게 못 팔면 직원 본인이 사야하는 구조를 만들기도 하죠.
A씨의 아내는 일당을 7만원까지 준다는 업체에 취업을 하여 회사에 한 달정도 나가더니 개발제한구역해제만 되면 남은 여생 편하게 지낼 수 있다는 말에 속아 1,400만 원을 투자했는데요. 또한 B씨는 월급 250만 원을 받기로 하고 교육 담당으로 업체에 취업을 하였고, 이후 대출까지 받아 3,500만 원을 투자하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기획부동산 업체는 소득과 자산이 넉넉하지 않은 직원과 직원의 지인들에게 토지매매를 강요해 이익을 거둬들이는데요. 다들 아시다시피 개발제한구역은 개발이 불가하여 지가가 오르지 않는 땅입니다. 때문에 이러한 토지에는 건물을 지을수도, 이후 팔아 이득을 남기기도 쉽지 않죠.
그러나 이러한 토지 매매도 대부분 지인을 통해 이루어지다 보니 생각이 바뀌어도 환불을 요구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심지어는 직원이었던 친인척에게 항의하니 연락이 두절되었다는 경우도 있었죠. 이렇게 사기라는 것을 알았을 때 금전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신뢰 관계도 무너지기 때문에 이러한 피해자들의 고통은 커질 수 밖에 없는데요.
이러한 기획부동산의 피해자들은 개발제한구역 정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지분을 사기 전 현장에 가보지 않고 토지를 구매하며 심지어 지번을 모른채로 구매하게 되는 경우도 굉장히 많죠. 많은 피해자들은 업체 직원의 설명이나 지인의 말만 믿고 개발제한구역 매매를 하게 되는 것인데요. 피해자 대부분이 부동산에 대한 지식이 낮은 중장년층이 중심이 되어 안타까움을 사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개발제한구역해제가 되어 땅 값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 상승에 따라 지가가 자연스럽게 오른다고 해도 그 땅의 매매를 원하는 사람이 없으니 팔아서 금전적 이득을 남길 수 없겠죠.
기획부동산은 빠른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막연히 개발되기만을 기다리거나 대응 방안을 몰라 시간을 허비하시다가는 업체가 잠적해버려 아예 토지를 환불받을 수 있는 기회도 사라져 버리는 것이죠.
저희 법무법인 명경 서울 (부동산변호사닷컴)은 관련하여 피해입으신 분들을 위해 기획부동산 전담 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해제와 관련하여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거나 법적 해결 방안을 찾고 싶으시다면 부동산 전문 변호사의 조언을 받아 상황을 해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cl-mUVBTM4&t=21s
이혼 귀책사유, 유책배우자 판단 기준은 (0) | 2022.05.13 |
---|---|
도시공원및녹지등에관한법률 따라 자연환경보전지역 가치없어지면 도시자연공원구역 취소 가능할까 (0) | 2022.05.13 |
이혼시공무원연금분할 이혼후재혼시기 합산하여 분할연금 될까 (0) | 2022.05.06 |
준보전산지란 무엇이며 준보전산지개발행위 가능할까 (0) | 2022.04.29 |
구로지역주택조합, 지역주택조합추가분담금 (지주택추가분담금) 발생했다면?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