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시간이 1시간이라도 부족하면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이타적 본능이 약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의 한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3박4일에 걸쳐 잠을 8시간 잔 후와 24시간 잠을 자지 않은 후 같은 사람의 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한 결과, 피곤할 때는 남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78%나 감소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수면 부족은 반사회적이고 도움을 거부하는 행동을 촉발합니다. 잠을 충분히 잔다면 이타성도 회복되며 이타성은 '수면의 양'보다 '수면의 질'에 훨씬 더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지역주택조합 사업은 '잘 되면 대박, 안 되면 쪽박'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위험 부담을 가지는 사업으로 이미 유명합니다. 사업의 장기화, 추가분담금 부과, 대행사의 사기 횡령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아 조합원들의 피해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특히 주택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조합원들을 보호할 만한 법적 장치가 마땅히 없어 부정적인 인식이 더욱 컸죠.
그렇다고 해서 또 모든 조합 사업이 실패하는 것은 아닌데요.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해 지주택 건설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사례도 있죠. 그런데 이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를 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바로 지역주택조합토지확보가 잘 되었다는 점인데요. 오늘은 이러한 성공 사례들을 살펴보며 가능성이 높은 조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에서는 작년 초 지역주택조합 현황 파악을 진행했는데요. 당시 서울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100여 곳이 넘는 사업부지 가운데 단 30여 곳만이 사업승인 인가를 받았거나 착공에 들어갔습니다. 먼저 착공에 들어갔다는 것은 말 그대로 아파트를 짓고 있는 것이고 사업승인인가를 받았다는 것은 시청이나 구청으로부터 아파트를 지어도 된다는 허가를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지역주택조합토지확보는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부분인데요. 사업부지 매입이 원활하거나 모두 완료했다면 아파트에 입주하는 건 시간 문제라고 볼 수 있겠죠. 여기서 놀라운 점은 지역주택조합성공사례로 꼽히는 30여 곳 중 12곳이 동작구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이라는 것인데요.
이 중 최근 공사를 완료하고 입주를 시작한 지역주택조합성공사례 한 조합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동작구 신대방동에서 사업을 진행한 A조합의 경우인데요. A조합은 조합원 모집에서 아파트 입주까지 약 7년의 기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는 다른 조합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빠르게 추진된 편에 속하는데요.
2014년 최초로 조합원을 모집했으며 2년 뒤인 2016년 6월에 지역주택조합토지 확보를 95% 이상 완료했습니다. 이후 사업은 빠르게 진행되었는데요. 중간에 지자체와의 협의가 잘 되지 않아 잠깐 지체되었지만 2017년 사업승인 인가를 받고 2018년 착공에 들어가기까지 진행 속도를 보면 안정적이고 빠르게 진행된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말씀드렸듯이 A조합은 지역주택조합 토지확보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이렇게 빠른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었는데요. 기존에 A조합이 사업을 진행하는 부지 절반 이상이 교회 땅이었습니다. 사업초반에 교회 측과 원만하게 협의하여 땅을 매입했기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땅을 확보하고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이죠.
이렇게 지역주택조합성공사례의 비결은 빠른 토지 확보인데요. 때문에 내가 가입하려는 조합이 어느 땅 일대에 아파트를 지으려고 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업 예정지에 직접 찾아간다거나 인터넷 지도 등을 검색해보는 방법이 있죠.
그 곳에 주택, 상가, 종교시설, 묘지 등이 있는지 혹은 거주 중인 주민들이 지주택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인지 등을 살펴보는 것이 좋은데요. 만약 주민들이 협조를 안 해주면 지역주택조합토지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죠.
또한 관할 시청, 구청 주택과에 연락해 가입한 지역주택조합토지확보율이 몇 퍼센트 인지 정확히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토지사용승낙률이 80%를 넘고 이 중 실제 매입률이 15% 이상이라면 조합설립 인가 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사업이 수월하게 진행 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죠.
유의해야 할 것은 토지확보가 되었다고 하여 100% 성공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떠한 상황이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여러 상황에 대해 잘 따져봐야 하는데요. 만약 관련 분쟁에 휘말려 피해 회복을 원하신다면 전문 법률가의 조언을 구해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TJrdOKn8I4
저렴한토지매매, 지인투자 알고보니 기획부동산사기 부동산사기유형 이라면 (1) | 2022.09.14 |
---|---|
지방자치단체 공원조성 관한 부당이득반환청구 소멸시효 알아보면 (0) | 2022.09.05 |
기획부동산 농지매매 농지법위반 주의해야 (1) | 2022.08.26 |
이혼후공무원연금분할 분할연금수급권 받을 수 있나 (0) | 2022.08.19 |
도시공원일몰제 사유재산권침해 회복위해선 토지감정평가 잘 받아야 (0) | 2022.08.12 |